1. 네. 제가 알기로도 별개입니다. 굳이 연관돼 있는 거라면 VLN이고요. 이 둘은 규정이 거의 공유됩니다. 대신 사용되는 서킷 레이아웃이나 세부 클래스 분류, 물론 엔트리는 다르고요.
2. 이것도 아무 상관은 없지만 만약 팀이나 선수가 원한다면 나가도 되요. 왜냐면 그 너버그링 경기들도 FIA의 GT나 N 규정이 포함돼 있거든요. GT3랑 GT4는 각각 SP9, SP10 클래스로 분류됩니다. 참고로 SP1부터 SP8까지는 짬뽕 클래스인데 그냥 배기량으로 나뉘고요. V클래스는 너버그링용 프로덕션 카, N은 FIA용 프로덕션, D는 디젤, E1은 특수한 애들 용, H는 VLN에만 있는 히스토릭이고요. 선수의 경우 24시 경기는 최근 몇 년 안에 너버그링 몇km를 달려야 하는 최소 마일리지만 채워지면 나갈 수 있습니다.
아무튼 그렇게 규정이 꽤 널널해서 각종 다른 레이싱에 참가하던 팀, 선수들이 많이 나오죠. 랠리 선수들도 종종 나와요. 솔직히 그 서킷은 랠리죠. ㅋㅋㅋ
3. 저도 솔직히 잘 모르겠는데 아마 평상시 열어놓는 레이아웃이랑 패독이 아닐까 하네요. -_- 보통은 짧은 레이아웃과 해당 패독이지만 서킷마다 다를 겁니다.
덧글
질문이 몇개 있는데요 ^^
1. 누버그링 24H는 독일 스포츠카 시즌대회인 ADAC GT Master와는 하등 관계 없는 단일 대회죠?
2. 만약 그렇다면 ADAC GT Master에서 뛰고 있는 팀들도 똑같은 드라이버 라인업으로 참가를 하나요?
3. 상설패독/상설서킷이 뭔가요? -_-;;
2. 이것도 아무 상관은 없지만 만약 팀이나 선수가 원한다면 나가도 되요. 왜냐면 그 너버그링 경기들도 FIA의 GT나 N 규정이 포함돼 있거든요. GT3랑 GT4는 각각 SP9, SP10 클래스로 분류됩니다. 참고로 SP1부터 SP8까지는 짬뽕 클래스인데 그냥 배기량으로 나뉘고요. V클래스는 너버그링용 프로덕션 카, N은 FIA용 프로덕션, D는 디젤, E1은 특수한 애들 용, H는 VLN에만 있는 히스토릭이고요. 선수의 경우 24시 경기는 최근 몇 년 안에 너버그링 몇km를 달려야 하는 최소 마일리지만 채워지면 나갈 수 있습니다.
아무튼 그렇게 규정이 꽤 널널해서 각종 다른 레이싱에 참가하던 팀, 선수들이 많이 나오죠. 랠리 선수들도 종종 나와요. 솔직히 그 서킷은 랠리죠. ㅋㅋㅋ
3. 저도 솔직히 잘 모르겠는데 아마 평상시 열어놓는 레이아웃이랑 패독이 아닐까 하네요. -_- 보통은 짧은 레이아웃과 해당 패독이지만 서킷마다 다를 겁니다.
하나만 더 질문드려도 될까요?
유투브에서 누버그링 24H 영상을 보니 핏스탑 시 타이어를 교체하는 게 아니라
뭐 열을 재는 듯한 장비로 그냥 타이어 열을 재는 듯한 행동만 하고 끝나더군요.
타이어에 공기를 더 넣는 것도 아닐테고.. 뭘하는 걸까요?
아마 추측으로 다른 걸 위해 예정에 없는 핏스탑을 했을 거 같네요. 그런 24시 내구레이스는 생각보다 타이어를 훨씬 아끼면서 달리거든요.
작년처럼 간단한 팀소개와 프리뷰 포스팅을 요청해도 될까요? ^^ 많은 도움이 됐었는데요
근데 공식 홈페이지에 엔트리가 아직 실제 정보하고도 다른 게 좀 있어서 내일쯤 정리해 보려고요.